test(3)
-
테스트 시 발생하는 위험 메시지 무시해보기
Background 사실 이 글을 작성하면서 조금 께름칙하네요.모름지기 시스템에서 뱉는 불편하다는 메시지는 잘 알고 해결해야될 듯 한데,이번 경우는 더 파고들어도 뭐가 안 나오고, 크게 걱정 없다는 조언? 들이 있어서 무시해보기로 합니다. 우리 시간은 소중하고, 짜증나는 빨간색 글씨를 없애기 위함이죠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첫 번째 Warning입니다.WARNING: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(/home/park/.gradle/caches/modules-2/files-2.1/net.bytebuddy/byte-buddy-agent/1.14.12/be4984cb6fd1ef1d11f218a648889df..
2024.05.01 -
Intellij에서 코드(파일) 템플릿 만들기
Background 한참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가 너무 빈번하게 발생되는 코드들을 느낄 수 있었네요.특히 저는 정렬에 매우 민감한 편인데, ClassOrderer나 MethodOrderer는 어디든지 사용하고 있었습니다. 그러다 문득 든 생각은...템플릿 없나? 뭐... 찾아보니 있었습니다 ㅎ JUnit5 Test Class Template 저는 JUnit5에서 테스트하므로 해당 클래스 템플릿을 만드는 것을 예시로 놓겠습니다. 1. Intellij에서 설정(Settings) 들어가기2. Editor > File And Code Template > Code 탭 > JUnit5 Test Class 누르기귀찮으면 검색창에 File And Code Template 작성하면 됩니다. 화면에서 볼 수 ..
2024.05.01 -
Mockito를 이용해 JpaRepository 테스트하기
Mockito Mock이란 건 진짜를 흉내내는 가짜를 의미합니다.가령 아래 코드가 있다고 하면repository.save(entity)실행하고 싶으면 repository 구현부가 존재해야겠죠.하지만 테스트 단계에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서 사용하기란 참 난감합니다.로컬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고 해도, 테스트 자체가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건 여전합니다. 따라서 저 구현부를 그럴듯하게 흉내내주는 것이 필요하고, 이때 Mock 개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repository.save 함수에 어떤 걸 인자로 제공하면, 이걸 무조건 리턴하도록 하세요. 이렇게 코드에서 직접 주고 받고하는 것들을 작성하므로 다른 모듈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Mockito는 mocking 프레임..
2024.04.30